생활체육 참여자 중 절반 이상이 부상을 경험했으며, 부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축구였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19세 이상 1만3천3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 스포츠안전사고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조사 결과, 생활체육 참여자 중 57.3%가 부상을 경험했다. 부상경험률이 높은 종목은 축구(71.3%), 격투기(66.7%), 검도(66.7%), 스노보드(64.6%), 농구(64.5) 순이었다.
주요 부상 부위는 발목(25.4%), 무릎(23.1%), 상반신(20.1%)순이었고 부상 종류는 염좌(51.7%)와 통증(51.0%)이 가장 많았다.
부상에 따른 치료 기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1.3%가 '2주 이내'라고 답했다.
부상 경험률과 경중, 횟수, 치료비, 치료기간 등 5개 항목을 고려한 상대적인 부상 위험도에선 축구와 자전거, 무도스포츠, 농구, 항공스포츠 등이 안전사고 위험도가 높은 적색 종목으로 나타났다.
등산, 헬스 등은 참여율이 높으면서 사고 위험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황색 종목으로 분류됐다.
스케이팅, 배드민턴, 수영 등은 부상 시 심각성이 낮고 부상 발생 가능성이 낮지만 사고에 대한 대비나 대처가 미흡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부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무리한 동작과 미끄러져 넘어짐, 사람과 충돌, 시설과 충돌 등의 순이었다.
부상자의 73.9%가 치료비용을 스스로 부담했으며, 치료비는 개인부담 1인 1건당 5만47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이 부담하는 치료비용은 항공스포츠가 9만8021원으로 가장 높았고, 승마(8만3856원), 보디빌딩·헬스(7만7105원) 순이었다. 반면 볼링(2만4680원), 요가(3만6805원), 탁구(3만6917원) 등은 상대적으로 치료비가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