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은 세계은행 및 IMF와 여성정책 협의 등을 위해 8일부터 10일까지 워싱턴을 방문한다.
이번 방문에서 조 장관은 최근 여성경제활동과 일가정 양립 등 젠더 이슈가 경제의 중심이슈로 전환되고 있는 정책 환경에 대처하고, 경제활동의 성격차 감소 및 여성경제활동참가율 제고를 위해 국제기구와 공조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모색한다.
조 장관은 8일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를 만나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및 여성인력 활용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IMF는 최근 여성인력 활용이 각국의 경제성장을 끌어올리고 개발을 주도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하며 취업 기회나 임금 면에서 남녀간 불평등이 여전히 크다고 평가했다.
또한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을 남성 수준까지 올릴 경우, 국내총생산(GDP) 수준을 미국은 5%, 일본은 9% 정도 올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IMF는 라가르드 여성총재 취임 이후 양성평등(Gender Equality)을 주제로 한 보고서를 이례적으로 발표했으며, 금융 위기 이후 대두된 시장중심 자본주의에 대한 반성적 논의를 끌어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라가르드 총재는 "세계 경제회복이 미진한 상황에서 여성의 기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면서 회원국이 여성노동자료 확보와 공개에 더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조윤선 장관은 10일엔 세계은행을 방문해 세계은행 젠더전문가들과 면담하고 세계은행이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성인지 시스템(Gender Tracking System) 등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세계은행은 2012년 개별 프로젝트 추진시 미리 성별 분석을 거치도록 하는 '성인지 시스템(Gender Tracking System)'을 도입하는 등 모든 사업이 성평등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가지원전략 마련시 각 국가의 성별평가(Gender assessment)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조 장관은 정부가 정책 추진 시 차이를 간과하여 차별을 낳지 않고 나아가 성평등 실현에 기여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세계은행과 논의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조 장관은 연방의회 의원, 유럽의회 의원, 워싱턴 한인단체 대표 등을 만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공조와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