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려견 아토피 요인·증상, 사람과 유사’
  • 건국대 수의대...집먼지·간접흡연 노출, 알레르기 일으켜
  •  

     

     

     반려견도 집먼지진드기나 집먼지, 담배연기 등에 노출되면 알레르기를 일으킬 가능성이 사람 못지않게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국대 수의학과 박희명 교수팀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진돗개·요크셔테리어·시추·코커스패니얼·말티즈·치와와 등 16종의 애완견 101마리를 대상으로 알레르기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수의학회가 발간하는 영문 학술지인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팀은 101마리 애완견들에게 집먼지진드기 등 92가지 알레르기 유발물질들을 차례로 노출시킨 뒤 이들의 피부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 지를 검사했다.

     그 결과, 집먼지진드기에 노출됐을 때 애완견의 61.4%(62마리)가 알레르기를 반응을 나타냈다. 애완견들은 집먼지진드기에 대해 최고의 감작률(sensitization rates,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비율)을 보인 것이다.

     이번 연구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애완견에게 실시된 관계로 집먼지진드기에 대해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비율이 일반 애완견에선 이보다 낮을 수도 있다.

     하지만 울산지역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634명) 검사에서 38%가 집먼지진드기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대한내과학회지’ 2014년 4권)를 고려하면 애완견도 사람 못지않게 각종 실내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이번 연구에서도 애완견들의 55.2%는 집먼지에 노출됐을 때, 31.3%는 담배 연기를 맡았을 때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

     박 교수는 “애완견의 아토피성 피부염이 사람에게 전파될 가능성은 없지만 주인이 담배를 피우면 애완견이 간접흡연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아토피에 걸리거나 아토피 증상이 악화되거나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고 말했했다.

     따라서 애완견에게 알레르기가 나타나면 주인의 실내 금연과 집먼지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카펫·침구류 등의 일광 소독 , 그리고 집먼지를 줄이기 위한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또 애완견들은 사람처럼 꽃가루·곤충·실내 오염물질·곰팡이는 물론 일부 식품들에 대해서도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닭고기(60.4%)·칠면조 고기(57.3%)·현미(42.7%)·맥주효모(41.7%) 섭취 뒤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콩·옥수수·쌀·보리·계란·완두콩·우유·밀을 섭취한 뒤 알레르기 비율은 20∼30%대였으며 양고기(13.5%)·돼지고기(12.9%)·소고기(10.9%) 섭취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을 애완견 등 개도 걸린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개의 아토피 발생에도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관여하는데, 증상도 사람과 비슷하다. 대부분 전신 가려움증을 호소하며 완치가 거의 힘들다는 것도 사람 아토피와 닮았다.
     박 교수는 “주거 환경을 깨끗이 하는 것이 개 아토피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현재까지 완벽한 예방법은 없다"며 "치료법으로는 면역 치료·샴푸 치료·저(低) 알레르기 사료 등이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 글쓴날 : [15-01-19 14:11]
    • admin 기자[]
    • 다른기사보기 admin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