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00년만에 복원된 마도 1호선, 다시 바다로
  • 고려시대 조운선... 26일 목포 국립해양문화재硏서 진수식
  •  

     

     문화재청은 고려시대 조운선인 마도 1호선을 실물 크기로 복원하고 오는 26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목포)에서 진수식을 개최한다.

     이 배는 지난 2010년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서 수중 발굴된 고려 시대 선박으로 배 안에서 각종 곡물류와 도자기, 대나무 제품, 식품류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됐다. 길이 15.5m, 너비 6.5m, 높이 3.2m의 규모로 현재 용량으로 약 30톤의 화물을 실을 수 있다. 

     이 배는 함께 발견된 목간(木簡)이나 죽찰(竹札)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1208년 전남 해남·나주·장흥 등지의 향리가 개경의 권력자에게 보내는 물품을 싣고 운항하던 조운선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고선박과의 비교·연구와 선박 전문가의 조언 등을 토대로 기초설계, 실시설계, 조선공학적 분석 등을 거쳐 3차원(3D) 복원과 축소 모형 제작했다. 실질적인 복원 작업은 올해 3월부터 11월까지 이뤄졌다.

     이 배는 평평하고 활처럼 치솟은 저판(底板, 밑판), 휘어 있는 통나무를 그대로 붙인 외판(外板, 배의 외곽을 이루는 판), 대나무를 사용하여 만든 1개의 돛 등을 갖추었다.

     부재 연결에는 참나무 못을 사용했고, 짐을 많이 실어야 하기 때문에 뱃전(배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넓은 것이 특징이다. 선재는 소나무와 낙엽송이 사용됐다.

     진수식은 전남 도립국악단과 목포시 시립무용단의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배서낭 모시기, 뱃고사, 돛 올리기, 배 띄우기, 항해 순으로 진행된다. 
      이 배는 앞으로 충남 태안군 신진도에 건립되는 서해수중유물보관동으로 옮겨 전시와 교육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글쓴날 : [14-11-25 18:08]
    • admin 기자[]
    • 다른기사보기 admin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