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0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수도권 소재 점포매물(1층) 수가 올들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건비를 줄여 버티려 해도 월세 상승폭이 더 커지는 등 영업 여건이 악화되면서 점포를 정리하려는 자영업자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점포라인(대표 김창환)이 최근 5년 간(2010년~2014년 11월 23일 기준) 자사DB에 매물로 등록된 수도권 소재 점포를 조사한 결과, 올해 매물로 등록된 수도권 점포는 전년(7139개) 대비 11.4% 늘어난 7953개로 집계됐다.
수도권 점포 매물 수는 2010년 1만1406개, 2012년 7338개를 기록하는 등 2011년부터 본격화 된 베이비부머의 자영업 진출에 힘입어 지난해까지 꾸준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세월호 사건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데다 치열한 경쟁으로 전반적인 수익률 감소가 뒤따르면서 점포를 정리하려는 매물 수도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보면 매물 수 증가가 두드러진 곳은 서울이었다.
서울 소재 점포매물 수는 지난해 5296개에서 올해 6208개로 17.2%(912개) 늘어났다. 특히 2010년 8758개를 기록한 이후 3년 연속 5500개를 밑돌았지만 올들어 6000개를 넘어섰다.
인천과 경기는 물건 수 감소세가 확연하게 꺾인 모습을 보였다.
인천 점포 매물 수는 지난해 비해 단 13개 모자란 251개, 경기는 85개 모자란 1494개로 각각 집계됐다. 연말까지 남은 한달을 고려하면 인천과 경기 점포매물 수 역시 지난해보다 넘어설 것이 유력시된다.
한편 자영업 여건 악화는 각 지역별 인건비와 월세의 변동 추이에서도 감지됐다.
수도권 점포 매물의 올해 평균 인건비는 전년 대비 17.1%(50만원) 줄어든 242만원으로, 2010년(303만원) 이후 가장 낮았다. 반면 올해 평균 월세는 2010년(236만원) 이후 가장 높은 324만원이었다.
이는 인건비를 줄이는 등 점포 스스로 자구책을 강구해도 그만큼 월세가 올라 고정 지출을 쉽게 줄이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월세와 인건비 합계액을 보면 2010년 점포마다 평균 539만원의 고정 지출이 발생했지만 올해는 평균 566만원에 달했다.
점포라인 김 대표는 “매물 수가 늘면서 권리금 역시 소폭 하향 조정되고 있는 상황이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앞으로 상권형성이 보장되지 않는 신축 점포보다 매출이 활발한 기존 상권 내 점포를 인수하는 것이 수익성과 안전을 모두 잡는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