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이어 83%가 한중 FTA가 발효되면 한국산 수입을 확대하거나 수입선을 제3국에서 한국으로 전환할 의사를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KOTRA(사장 오영호)는 중국 전역 바이어 238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중 FTA 발효 후 대한 수입 확대 전망’설문조사 결과를 지난 10일 발표했다.
현재 한국산을 수입중인 바이어(193개사, 81%)의 경우 10개 중 9개사(172개사, 89%)가 한국산 수입을 확대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국산 수입실적이 없는 바이어군(45개사, 19%)에서도 58%(26개사)가 수입의사를 보였다.
중국 바이어의 수입확대 이유는 ‘관세철폐에 따른 한국산 제품의 가격인하’가 69%(137개 사)로 가장 높았고, ‘비관세장벽 철폐 효과’ 17%(34개사) 및 ‘한국산 제품의 인지도 상승’ 13%(25개사)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우리기업 진출이 활발한 동부연해 지역과 서부대개발로 빠른 성장을 하고 있는 서부지역 바이어의 경우 각각 85%(127개사)와 86%(30개사)가 수입확대 의사를 보였다.
반면 중부지역 바이어의 수입확대 응답(76%)은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돼 이 지역에 대한 시장개척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업종별로는 농식품이 15개사 중 13개사(87%), 섬유.의류가 11개사 중 10개사(91%)가 수입확대 의사를 보였다. 이는 식품에 대한 안전요구, 고급 의류 소비 수요 등 트렌드 변화와 한류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중국 수출 주력 품목인 전기전자도 23개사 중 20개사(87%)가 수입확대 의사를 보였다. 기계, 의약.의료의 경우 각각 34개사 중 26개사(76%), 11개사 중 7개사(64%)가 수입확대 의향을 보여 전체 평균치보다 낮았다.
한중 FTA 체결 이후의 유망품목으론 화장품(17.4%), 생활용품(12.6%), 가공식품(10.8%), 전자(9.7%) 순으로 소비재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화장품, 생활용품은 관세인하 효과 및 비관세장벽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 3% 수준인 대중국 소비재 수출비중이 앞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