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연안 수온 상승으로 동해로 회유하는 오징어의 어획량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 꽁치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강릉시)는 어황이 순조로운 오징어와 부진한 꽁치가 서식하는 수심별 수온분포와 어획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하반기에도 오징어의 어획이 순조로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오징어가 좋아하는 12∼18℃의 수온대가 표층 20∼30m의 얕은 곳에 형성돼 오징어의 어획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오징어는 채낚기 어업보다 그물에 의해 어획되는 양이 증가했다.
올해부터 살오징어의 금어기가 4~5월로 설정되고 6월 이후 살오징어가 좋아하는 수온대가 표층에 좁게 형성돼 채낚기보다 그물로 건져올리는 오징어의 양이 늘었기 때문이다.
한편 연안 표층에서 어획되는 꽁치는 주어획 시기인 5∼6월에 표층수온(14∼18℃)이 동서 방향으로 넓게 형성돼 어군이 분산됐기 때문에 어획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