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사는 직장인 A씨는 서울에 사업차 출장 중 갑자기 은행에서 사업자금 대출이 필요했다.
은행에 확인해 본 결과, 개인의 재산정도 확인을 위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가 필요해 가까운 행정기관에서 과세증명서를 즉시 발급받을 수 있었다.
예전 같으면 행정기관에 과세증명서를 신청하는데 3시간 정도가 걸렸고, 또 되찾을 때도 행정기관에 다시 방문해야 해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이제는 가까운 행정기관 어디든 방문해 과세증명서를 신청하면 즉시 발급되는 ‘전국 무관할 과세증명서 발급제도’가 시행됐다. 민원신청 후 대기 시간과 재방문 등 불편함이 일시에 해소된 것.
안전행정부는 14일부터 지방세 과세증명서 발급 관련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다른 지자체의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어디서든 즉시 발급받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안전행정부는 이번에 전국 지자체의 표준정보시스템과 위택스 시스템간의 과세내역정보 연계망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민원인이 주소지가 아닌 곳에서 자신의 과세증명서를 신청해 발급받을 수 있어 소요되는 시간이 기존 4시간에서 즉시 발급으로 크게 단축된다.
지금까지는 타 자치단체에서 관할 자치단체의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신청하려면 타 자치단체 공무원이 관할 자치단체 공무원에게 전화 또는 FAX로 발급 요청하여 처리하는 방식이었다.
배진환 안전행정부 지방세제정책관은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전국 지자체 어디서든 즉시 발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개방?공유?소통?협력’이라는 ‘정부3.0’의 가치를 지방에서 구현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방세 관련 불편사항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12년도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통계
No. |
자치단체 |
발급건수 |
No. |
자치단체 |
발급건수 |
1 |
서울특별시 |
544,884 |
10 |
강원도 |
159,435 |
2 |
부산광역시 |
144,084 |
11 |
충청북도 |
149,267 |
3 |
대구광역시 |
140,136 |
12 |
충청남도 |
250,923 |
4 |
인천광역시 |
150,823 |
13 |
전라북도 |
237,826 |
5 |
광주광역시 |
61,802 |
14 |
전라남도 |
345,444 |
6 |
대전광역시 |
79,797 |
15 |
경상북도 |
308,378 |
7 |
울산광역시 |
63,442 |
16 |
경상남도 |
332,287 |
8 |
세종특별자치시 |
9,995 |
17 |
제주특별자치도 |
74,377 |
9 |
경기도 |
739,505 |
총 계 |
3,792,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