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역

국제

인물.동정

문화.체육

연예

사회

다문화정책

확대 l 축소

교통사고 10.8%, "음주운전 때문이야"

65%가 만취상태서 '핸들'....10만명당 사고, 충남 최다

지난 2010년부터 5년 간 전국적으로 13만6천여 건의 음주 운전사고가 발생해  3,648명이 사망했다. 또  이 기간 전체 교통사고 건수의 12.3%, 전체 사망자의 14.0%가 음주 운전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로교통공단이 최근 5년간 음주 운전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음주 운전사고 점유율은 2010년 12.6%에서 2014년 10.8%로 꾸준히 낮아지고 있으나 전체교통사고 10건 중 한 건 이상은 음주운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별 음주운전은 토요일(18.2%), 일요일(16.1%) 등 주말, 시간대별로는 오후 10시~자정(19.5%), 자정~새벽 2시(16.7%) 등 자정을 전후해 집중 발생됐다.
음주 정도별 발생률은 혈중알코올농도 0.10%~0.19%가 64.9%, 0.05%~0.09%가 22.2%, 0.20%~0.29%가 1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주 운전사고의 64.9%가 만취수준인 0.10%~0.19%에서 일으킨 것으로 분석됐다. 혼수상태 등 심신상실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0.30% 이상의 경우도 0.5%(638건)를 차지했다.

음주 정도에 따른 치사율(100건당 사망자)은 0.10% ~ 0.19% 2.0명, 0.20%~0.29%는 5.0명, 0.30%~0.34%는 10.9명, 0.35% 이상 13.1명 등으로 혈중알코올농도에 비례해 사고의 위험성이 급격하게 높았다.

사고운전자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7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화물차(11.9%), 이륜차(6.3%), 승합차(3.2%) 순이었다.

사고운전자 연령층별로는 40대가 27.6%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26.1%, 20대 23.1%, 50대 16.1% 였다. 특히 20대 운전자들의 경우 정상운전(비음주)사고와 비교할 때 1.7배 이상 사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젊은층의 음주 운전이 심각했다.
시도별로 인구 10만 명당 음주 운전사고 발생 건수는 충남이 397.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385.3건), 전남(377.7건), 울산(371.5건)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종이 156.2건으로 가장 적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