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역

국제

인물.동정

문화.체육

연예

사회

다문화정책

확대 l 축소

연말 직장인 등골브레이커 1위 ‘송년회비’

겨울옷값-부모님 용돈 순...자금운영 계획, '긴축' 최다

 

 

 

연말 직장인들의 지출을 부담스럽게 하는 등골브레이커 1위에 '송년회비'가 꼽혔다.

이는 9일 잡코리아가 직장인 752명을 대상으로 '연말의 등골브레이커'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드러났다.

먼저 지난달과 연말의 예상 지출에 대해 직장인의 73.3%가 ‘11월보다 12월 지출이 많을 것’이라고 답했다. ‘11월보다 지출이 줄어들 것’이란 응답은 6%에도 못 미쳤다. ‘지난달과 다름없을 것’은 약 21%로 나타났다.

연말 지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모임과 연휴가 꼽혔다. ‘각종 송년모임 등 회비로 지출될 곳이 많아서(31.0%)’가 1위를 차지했으며, ‘크리스마스, 연말 연휴 등 비용지출이 예상되는 기념일 때문에(26.0%)’가 뒤를 이었다.

이어 ‘부모님, 친지 등 챙겨야 하는 분이 많아서(16.3%)’, 고가의 패딩 등 다른 계절보다 비싼 겨울옷 때문에(13.0%)’ 순이었다. 그 밖에 ‘세금폭탄이 예상돼서’, ‘여행계획이 있어서’, ‘감기, 근육통 등 의료비 지출이 늘어서’, ‘자녀 학원비, 등록금 등 새 학기 학비 마련 때문에’ 등도 있었다.

연말 지출 항목 중 유난히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등골브레이커가 있냐는 질문에 84.3%가 ‘그렇다’고 답했다. 

연말 등골브레이커 1위는 ‘송년회 등 주요 모임 회비(39.1%)’였다. 2위는 ‘고가의 패딩, 아웃도어의류 등 비싼 겨울옷값(17.2%)’, 3위는 ‘부모님 및 친지의 용돈·선물(16.6%)’이 각각 차지했다. ‘조카, 지인 크리스마스 선물(10.1%)’, ‘연말 세금폭탄(9.1%)’, ‘자녀 크리스마스 선물(3.9%)’ 등도 꼽혔다.
이를 반영하듯 12월 자금 운영계획 1위는 ‘긴축재정(30.1%)’이었다. ‘그동안 모아둔 비자금, 쌈짓돈을 이용할 것(15.7%)’이 2위를 차지한 가운데, ‘사실상 대책이 없다(15.6%)’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