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역

국제

인물.동정

문화.체육

연예

사회

다문화정책

확대 l 축소

남원 운봉고원에서 신라 무덤 발굴

 

앞트기식 돌덧널무덤.(횡구식 석곽묘)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전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영민)은 전북 남원시 운봉면에 위치한 북천리 고분 발굴현장에서 처음으로 신라 후기 양식의 앞트기식 돌방무덤(횡구식 석실묘)과 토기를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횡구식 고분(橫口式 古墳)은 먼저 세 벽을 구축하고 천장돌을 덮은 다음 한쪽으로 주검을 넣고 밖에서 벽을 막아 만든 무덤이다.

 발굴 현장에선 또  삼국시대 앞트기식 돌덧널무덤(횡구식 석곽묘) 1기와 신석기 시대 주거지 1기와 함께 짧은목항아리(단경호), 연질호, 방형 투창(透窓) 짧은굽다리 그릇(단각고배) 등 유물도 함께 출토됐다.

 앞트기식 돌방무덤(횡구식 석실묘)은 남원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신라 후기 양식의 유구로, 신라가 섬진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는 학술 가치가 큰 자료이다.

 현재까지 운봉고원 지대와 남원에서 백제계와 가야계 유물이 출토된 사례는 많지만, 신라계 고분이 조사된 예는 거의 없었다.

 또 투창이 있는 굽다리그릇(고배)는 운봉 지역뿐만 아니라 전북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 신라 후기 토기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2기의 고분이 백제와 가야, 백제와 신라 등 이 지역을 중심으로 패권을 다투던 삼국시대 각 세력 관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